김한길 프로필 나이 고향 배우자 최명길
- 출생 1952년 9월 17일 69세 일본 도쿄도
- 대한민국의 제15대~17대, 19대 국회의원과 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낸 정치인이자 소설가.
- 배우 최명길의 배우자
1952년 일본에서 태어난 그는 유치원까지 일본에서 다녔다. 귀국하는 선친을 따라 한국에 와서 사전을 펼치고 한글을 공부했다. 선친 김철은 1960년 5.16 쿠데타가 일어나자 다시 일본으로 6년간 망명을 떠나 헤어져 살았다. 선친은 다시 귀국했지만 진보 정치인으로써 온갖 고초를 당했고 가족들도 어려운 삶을 살아야 했다. 김한길은 무뚝뚝한 아버지의 평화 통일,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이란 구호가 어린 마음에 별로 와닿지 않았다고 고백했다.
- 건국대학교 정외과 졸업
- 서울중앙여고 교사
- 1981년 바람과 박제 소설부문 신인상 수상
1981년 이어령 장관의 장녀 이민아 결혼 후 미국으로 건너가 한국일보 미주기자로 취직후 중앙일보 미주지사장까지 지낸다.
1986년 이혼후 귀국해 소설가, 기자, 방송인으로 활동한다. 1991년 여자의 남자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다. 조영남의 화개장터 작사로 유명해 진다.
정치입문
1991년 꼬마 민주당에서 서울 동작구 을 지구당 위원장을 맡았다. 1993년 MBC <김한길과 사람들>이라는 토크쇼의 진행자로 인기를 끌었고 1995년에 톱스타 최명길과 재혼에도 성공했다.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게 된 그는 96년 15대 총선을 앞두고 신한국당(지금의 국민의힘)에 분당 지역구 공천을 신청했다. 3년 정도 진행하던 토크쇼도 하차해야 했고, 94년 작고한 아버지의 정치적 입장과도 맞지 않는 선택이었다. 분당구 국회의원 오세응과 경선까지 각오했지만, 때마침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총재가 전국구를 제안한다. 김대중 총재는 71년 대선 때 김철이 혁신, 진보계 표를 몰아줬던 인연이 있었다. 김대중 총재와 손잡고 전국구 공천을 받는다. 후보 6번으로 당선권이었고 그대로 당선됐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의 TV방송 부분 담당하여 승리에 기여한다.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 정책기획수석비서관을 지낸다.
김한길이 당대표 시절 민주당은 최악이었다. 모든 선거를 말아먹고 결국 자신은 폐암으로 정계를 은퇴한다. 성완종 리스트 사건 당시 자살한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으로부터 뇌물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아 검찰의 수사선상에 올라가는 바람에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2021년 3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총장직에서 사퇴하기 전 김한길, 정대철 등 옛 민주당의 유력 정치인들과 만나 조언을 받은 것으로 밝혀져 물밑에서 윤석열 전 총장의 정계 진출을 지원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돌고 있다.조수진은 아예 윤석열이 정동영, 김한길 등과 접촉하고 있음을 밝히기도 했다.
김한길 저서
-
2006년 《눈뜨면 없어라》 수필
-
2000년 《김한길의 희망일기》 수필
-
1996년 《아침은 얻어먹고 사십니까》 칼럼
-
1995년 《거기 그녀가 서 있는 걸 보았네》 소설
-
1993년 《눈뜨면 없어라》 수필
-
1991년 《여자의 남자》 장편소설, 영화로 제작
-
1989년 《낙타는 따로 울지 않는다》 장편소설, 영화로 제작
-
1988년 《현대조선역사》
-
1984년 《미국일기》 수필
-
1981년 《바람과 박제》 소설
-
1981년 《세네카의 죽음》 소설
-
1980년 《대학일기》 수필
-
1978년 《병정일기》 수필
최명길 프로필 나이
- 출생 1962년 11월 11일 만59세 서울
- 수도여자고등학교
- 서울예술대학교
- 데뷔 1981년 MBC 13기 공채 탤런트
출연작품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비고
|
1981년
|
|
성난 눈동자
|
|
|
1982년
|
어제 그리고 내일
|
|
||
1983년
|
겨울 해바라기
|
|
||
1983년
|
조선왕조 오백년 추동궁마마
|
고려 왕족의 딸 선이 역(옥세운의 어머니)
|
||
1984년
|
조선왕조 오백년 설중매
|
정현왕후
|
||
1985년
|
조선왕조 오백년 풍란
|
자순대비(=정현왕후)
|
||
남자의 계절
|
박미란
|
주연
|
||
1987년
|
도시의 얼굴
|
이정화
|
||
1988년
|
세 여인
|
이민자
|
||
조선왕조 오백년 한중록
|
혜경궁 홍씨
|
|||
1989년
|
조선왕조 오백년 파문
|
혜경궁 홍씨
|
||
1990년
|
그 여자
|
한재숙
|
||
1991년
|
또 하나의 행복
|
차문영
|
||
|
사랑의 풍차
|
|
||
1992년
|
궁합이 맞습니다
|
서현자
|
||
재회
|
지혜
|
|||
1993년
|
결혼
|
나지영
|
||
1994년
|
사랑은 없다
|
한소진
|
||
1996년
|
|
용의 눈물
|
원경왕후
|
|
2000년
|
|
깁스가족
|
조아라
|
|
온달왕자들
|
김영숙
|
|||
2001년
|
|
명성황후
|
명성황후
|
|
2003년
|
|
태양의 남쪽
|
정연희
|
|
2005년
|
꽃보다 여자
|
김정아
|
||
2007년
|
|
내 곁에 있어
|
장선희
|
|
2008년
|
|
대왕 세종
|
원경왕후
|
특별출연
|
2009년
|
|
미워도 다시 한번 2009
|
한명인
|
주연
|
천하무적 이평강
|
제왕후
|
|||
2010년
|
|
근초고왕
|
해비 해소술
|
조연
|
|
폭풍의 연인
|
서윤희
|
||
2011년
|
미스 리플리
|
이화/김정순
|
||
|
영광의 재인
|
박군자
|
||
2013년
|
|
금 나와라, 뚝딱!
|
윤심덕
|
|
|
미래의 선택
|
큰 미래
|
주연
|
|
2014년
|
|
펀치
|
윤지숙
|
조연
|
2015년
|
|
파랑새의 집
|
한선희
|
주연
|
드라마 스페셜 - 계약의 사내
|
성수영
|
|||
|
우리집 꿀단지
|
배국희
|
||
2016년
|
|
당신은 선물
|
은영애
|
|
|
안투라지
|
강옥자
|
조연
|
|
2018년
|
|
인형의 집
|
금영숙
|
주연
|
2019년
|
|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
전인숙
|
|
우아한 모녀
|
차미연/캐리 정
|
|||
2020년
|
그놈이 그놈이다
|
김선희/김수정
|
||
2021년
|
빨강 구두
|
민희경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