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한길 프로필 나이 고향 배우자 최명길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 11. 22.
반응형

김한길 프로필 나이 고향 배우자 최명길

  • 출생 1952년 9월 17일 69세 일본 도쿄도
  • 대한민국의 제15대~17대, 19대 국회의원과 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낸 정치인이자 소설가.
  • 배우 최명길의 배우자

 

1952년 일본에서 태어난 그는 유치원까지 일본에서 다녔다. 귀국하는 선친을 따라 한국에 와서 사전을 펼치고 한글을 공부했다. 선친 김철은 1960년 5.16 쿠데타가 일어나자 다시 일본으로 6년간 망명을 떠나 헤어져 살았다. 선친은 다시 귀국했지만 진보 정치인으로써 온갖 고초를 당했고 가족들도 어려운 삶을 살아야 했다. 김한길은 무뚝뚝한 아버지의 평화 통일,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이란 구호가 어린 마음에 별로 와닿지 않았다고 고백했다.

 

  • 건국대학교 정외과 졸업
  • 서울중앙여고 교사
  • 1981년 바람과 박제 소설부문 신인상 수상

 

1981년 이어령 장관의 장녀 이민아 결혼 후 미국으로 건너가 한국일보 미주기자로 취직후 중앙일보 미주지사장까지 지낸다. 

 

1986년 이혼후 귀국해 소설가, 기자, 방송인으로 활동한다. 1991년 여자의 남자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다. 조영남의 화개장터 작사로 유명해 진다. 

 

정치입문

1991년 꼬마 민주당에서 서울 동작구 을 지구당 위원장을 맡았다. 1993년 MBC <김한길과 사람들>이라는 토크쇼의 진행자로 인기를 끌었고 1995년에 톱스타 최명길과 재혼에도 성공했다.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게 된 그는 96년 15대 총선을 앞두고 신한국당(지금의 국민의힘)에 분당 지역구 공천을 신청했다. 3년 정도 진행하던 토크쇼도 하차해야 했고, 94년 작고한 아버지의 정치적 입장과도 맞지 않는 선택이었다. 분당구 국회의원 오세응과 경선까지 각오했지만, 때마침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총재가 전국구를 제안한다. 김대중 총재는 71년 대선 때 김철이 혁신, 진보계 표를 몰아줬던 인연이 있었다. 김대중 총재와 손잡고 전국구 공천을 받는다. 후보 6번으로 당선권이었고 그대로 당선됐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의 TV방송 부분 담당하여 승리에 기여한다.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 정책기획수석비서관을 지낸다.

 

김한길이 당대표 시절 민주당은 최악이었다. 모든 선거를 말아먹고 결국 자신은 폐암으로 정계를 은퇴한다.  성완종 리스트 사건 당시 자살한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으로부터 뇌물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아 검찰의 수사선상에 올라가는 바람에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2021년 3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총장직에서 사퇴하기 전 김한길, 정대철 등 옛 민주당의 유력 정치인들과 만나 조언을 받은 것으로 밝혀져 물밑에서 윤석열 전 총장의 정계 진출을 지원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돌고 있다.조수진은 아예 윤석열이 정동영, 김한길 등과 접촉하고 있음을 밝히기도 했다.

 

김한길 저서

  • 2006년 《눈뜨면 없어라》 수필
  • 2000년 《김한길의 희망일기》 수필
  • 1996년 《아침은 얻어먹고 사십니까》 칼럼
  • 1995년 《거기 그녀가 서 있는 걸 보았네》 소설
  • 1993년 《눈뜨면 없어라》 수필
  • 1991년 《여자의 남자》 장편소설, 영화로 제작
  • 1989년 《낙타는 따로 울지 않는다》 장편소설, 영화로 제작
  • 1988년 《현대조선역사》
  • 1984년 《미국일기》 수필
  • 1981년 《바람과 박제》 소설
  • 1981년 《세네카의 죽음》 소설
  • 1980년 《대학일기》 수필
  • 1978년 《병정일기》 수필

최명길 프로필 나이

최명길이 정면을 응시하는 사진

  • 출생 1962년 11월 11일 만59세 서울
  • 수도여자고등학교
  • 서울예술대학교
  • 데뷔 1981년 MBC 13기 공채 탤런트

출연작품

 

방영 연도
방송사
제목
배역
비고
1981년
 
성난 눈동자
 
1982년
어제 그리고 내일
 
1983년
겨울 해바라기
 
1983년
조선왕조 오백년 추동궁마마
고려 왕족의 딸 선이 역(옥세운의 어머니)
1984년
조선왕조 오백년 설중매
정현왕후
1985년
조선왕조 오백년 풍란
자순대비(=정현왕후)
남자의 계절
박미란
주연
1987년
도시의 얼굴
이정화
1988년
세 여인
이민자
조선왕조 오백년 한중록
혜경궁 홍씨
1989년
조선왕조 오백년 파문
혜경궁 홍씨
1990년
그 여자
한재숙
1991년
또 하나의 행복
차문영
 
사랑의 풍차
 
1992년
궁합이 맞습니다
서현자
재회
지혜
1993년
결혼
나지영
1994년
사랑은 없다
한소진
1996년
 
용의 눈물
원경왕후
2000년
 
깁스가족
조아라
온달왕자들
김영숙
2001년
 
명성황후
명성황후
2003년
 
태양의 남쪽
정연희
2005년
꽃보다 여자
김정아
2007년
 
내 곁에 있어
장선희
2008년
 
대왕 세종
원경왕후
특별출연
2009년
 
미워도 다시 한번 2009
한명인
주연
천하무적 이평강
제왕후
2010년
 
근초고왕
해비 해소술
조연
 
폭풍의 연인
서윤희
2011년
미스 리플리
이화/김정순
 
영광의 재인
박군자
2013년
 
금 나와라, 뚝딱!
윤심덕
 
미래의 선택
큰 미래
주연
2014년
 
펀치
윤지숙
조연
2015년
 
파랑새의 집
한선희
주연
드라마 스페셜 - 계약의 사내
성수영
 
우리집 꿀단지
배국희
2016년
 
당신은 선물
은영애
 
안투라지
강옥자
조연
2018년
 
인형의 집
금영숙
주연
2019년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전인숙
우아한 모녀
차미연/캐리 정
2020년
그놈이 그놈이다
김선희/김수정
2021년
빨강 구두
민희경

 

728x90
반응형

댓글